캐나다 이모저모/캐나다 이민103 캐나다 지역의 차이점 및 선택 (BC, Alberta) 저번에는 캐나다의 이민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캐나다의 주요 지역의 차이점등을 설명드리며 지역 선택을 하실때 알면 좋은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단, 이번시간은 이민은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지역만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이민을 고려하시면 지역별로 다양한 이민방법을 알아보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1. 캐나다 3개의 준주 (Territory) 캐나다에는 10개의 주 (province)와 3개의 준주 (territo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캐나다는 전반적으로 추운지역에 속하여 겨울이 일찍 찾아오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눈이 많이 오는 나라입니다. 3개의 준주는 캐나다의 북쪽(North)에 위치해 있는데 바로 북극에 가까운 지역이기 때문에 매우 춥고, 여름이 짧으며 눈.. 2019. 11. 3. 저렴한 비지니스를 통한 캐나다 이민 방법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ic.gc.ca/english/helpcentre/results-by-topic.asp?st=6.3 Business immigration programs www.cic.gc.ca 캐나다 연방정부는 현재 투자이민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French 권인 퀘백지역만 투자이민을 가지고 있지만 C$2 million (한화 약 18억원)의 자산증명과 C$1.2 million (한화 약 11억원)의 투자가 요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민자들에게는 불가능한 이민 제도입니다. 캐나다의 거의 모든 주들은 비지니스 이민 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이민자들이 비지니스를 새로 오픈하거나 기존 비즈니스를 구입하여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경.. 2019. 10. 25. 캐나다 현실적 이민 방법은 무엇일까? – 비지니스 이민 제외 저번에 캐나다의 이민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정말 현실적인 캐나다 이민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설명 드렸다시피, 캐나다에는 크게 연방정부 및 주정부 영주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연방정부 영주권은 Express Entry (EE)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매월 2주정도에 발표되는 연방정부의 커트라인 (현재 460점대)를 넘는다면 이민을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데, 접수부터 영주권을 받기까지 약 6개월 정도가 걸립니다. EE를 통하여 영주권을 받기 위해서는 460점대의 점수를 넘어야 하는데 이 점수를 넘기기가 쉽지많은 않습니다. https://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 2019. 10. 24. 캐나다 연방정부 총선 결과 - 자유당 승리 드디어 2019년 10월 21일 캐나다 총리를 선출하는 총선을 치뤘습니다. 캐나다 연방정부 총선 결과는 157석을 차지한 Liberal (자유당)이 121석을 차지한 Conservative (보수당)을 물리치고 다수당이 되어서 저스틴 트뤼도(Justin Pierre James Trudeau)가 연임에 성공을 하였습니다. 우선, 언론에서 나오는 평가는 자유당이 의외로 선전을 했다라는 평입니다. 2015년 수십석만 가지고 있던 자유당을 저스틴 트뤼도가 정계에 입문하면서 186석을 차지하여 정권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SNC-Lavalin이라는 퀘백을 기반으로 한 회사와 관련하여 터진 트뤼도의 비리관련 문제와 트뤼도가 대학시절에 흑인 분장을 하였던 사진이 공개되면서 인종차별의 이.. 2019. 10. 23. 이전 1 ··· 22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