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이민) TFSA (Tax-Free Savings Account), RRSP (Registered Retirement Savings Account), FHSA (Tax-Free First Home Savings Account) 을 활용한 절세 및 주택 구매
2023년 4월 1일자로 첫번째 주택 구매자 자격에 해당되는 캐나다 거주자들은 FHSA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는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캐네디언들에게 세제 해택을 주어 주택 구매를 돕기위해 캐나다 연방정부가 도입한 제도입니다. 이 외에도 캐나다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세제 혜택을 가진 제도가 2가지가 더 있는데요, 이는 TFSA 및 RRSP 입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TFSA
|
RRSP
|
FHSA
|
Tax Deductible
|
No
|
Yes
|
Yes
|
Withdrawal Fee
|
No
|
Yes
(penalty, fee, or tax) |
Yes
(tax) |
Tax-Free When Withdraw
|
Yes
|
Yes,
only for HBP or LLP |
Yes,
only for first home |
Can you invest in the account?
|
Yes
|
Yes
|
Yes
|
Does this account expire?
|
No
|
No
|
Yes,
in 15 years, or towards RRSP |
1. 소득으로부터의 공제
- 위 표에서 보듯이 RRSP와 FHSA는 소득으로부터 그 해 입금액을 공제 한 후 남은 소득에서 세금을 추징하기 때문에 세금을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RRSP의 경우 개인 소득에서 일정 비율 (18%) 또는 그 해 멕시멈 중에서 낮은 금액까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FHSA는 매년 최대 $8,000까지 공제 가능하며, 평생 최대 $40,000 까지 저축할 수 있습니다. TFSA의 경우에는 소득공제 혜택이 없으며 매년 사용 가능한 입금액은 매년 달라질 수 있으며 2023년에는 최대 $6,500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모두는 그 해에 사용하지 않은 한도는 다음 해로 계속 이월될 수 있습니다.
2. 중도 출금 비용
- TFSA는 소득 공제와 관련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마음껏 출금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출금하는 경우에는 그만큼의 공간이 다시 생기기 때문에 다음 해에 다시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RRSP 및 FHSA는 소득공제용이기 때문에 중도 출금할 경우에는 징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출금 시 징세
- TFSA는 말 그대로 Tax-Free 계좌이기 때문에 이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의 세금은 면제됩니다. RRSP의 경우에도 집을 구매할 경우에는 1인당 최대 $35,000까지 징세 없이 집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15년간 이 계좌에 다시 채워 넣어야 합니다. FHSA의 경우에도 첫째 주택 구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징세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계좌를 개인 투자에 사용할 수 있나?
- 위 모든 계좌는 이자소득 증대 등 개인의 투자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계좌의 수명?
-TFSA는 계좌의 수명 없이 평생 사용이 가능합니다. RRSP의 경우는 연금 계좌이기 때문에 일정 나이가 되면 사용을 시작하겠지요. FHSA는 최대 15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이 기간이 넘어가면RRSP 등으로 전환됩니다.
위 특징을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계좌를 알맞게 사용하신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성공적인 징세, 주택 구매, 투자를 계획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욱 구체적인 내용은 반드시 세금 및 투자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공감 꾸욱, 이웃신청 부탁드립니다.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캐나다 #캐나다절세방법 #캐나다주택구매 #캐나다TFSA #캐나다RRSP #캐나다FHSA #캐나다소득공제 #캐나다부동산#나이아가라부동산#해밀턴부동산#벌링턴부동산#캐나다리얼터#박지송부동산#박지송리얼터#나이아가라지역#niagararegion#hamilton#burlington#realestate#canada#jisongrealtor#jisonpark#캐나다리얼터#나이아가라리얼터#해밀턴리얼터#벌링턴리얼터#캐나다이민#캐나다유학#캐나다정착#캐나다취업#캐나다영주권#캐나다비자 #박지송나이아가라리얼터
'캐나다 이모저모 > 캐나다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이민) 남편의 캐나다 연방정부 Office of the Auditor General of Canada 인턴쉽 합격후기 (2) | 2023.05.17 |
---|---|
(캐나다 이민) 캐나다 St. Thomas에 폭스바겐 (VW) 배터리 공장 증설 확정 (0) | 2023.04.28 |
(캐나다 이민) 외국인 주택 구매 가능 수정 법안 (0) | 2023.03.30 |
(캐나다 이민) 2022년 캐나다 외국인 유학생 약 550,000명 유치 (1) | 2023.02.22 |
(캐나다 이민) 2023년 캐나다에서 수요가 높을 수 있는 직업 군? (0) | 2023.01.23 |
댓글